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연산자
- 친절한 SQL
- 오버로딩
- 친절한 SQL 튜닝
- 비교 연산자
- join
- 함수
- SQL
- @PreAuthorize("isAuthenticated()")
- 논리 연산자
- 상속
- 이클립스 설치
- java
- 예약어
- SpringSecurity 로그인
- SQL튜닝
- spring 게시판 삭제
- 객체지향
- 배열
- 산술 연산자
- StringBuffer
- 객체
- 인텔리제이 Web 애플리케이션
- 오버라이딩
- SQL 튜닝
- 반복문
- 스프링시큐리티 로그아웃
- SpringSecurity 로그아웃
- 식별자
- 자바의정석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71)
gi_dor

해당 폼이 로드될 때 데이터베이스 연결을 시도하고 연결에 성공, 실패 여부 메세지를 보여준다또한 버튼 클릭시 데이터를 조회하는 코드이다 namespace Helper{ public partial class CommonCod : Form { // 데이터베이스 연결 public static String uid = ""; public static String password = ""; // 비밀번호가 없으므로 빈 문자열 public static String database = ""; public static String server = ""; public static String conStr = $"Server={serve..
프로젝트 배포 당시 MySQL8.xxx 버전을 사용했으며 취준당시 면접 예상 질문으로 5버전과 8 버전대의 차이점에 대한 알아보면서 취업 이후 어느새 까먹어버려서 간단하게 기록 해보려고한다. 스토리지 엔진 ?데이터베이스 엔진 또는 스토리지 엔진으로 부르며 , 데이터를 조회 , 추가 , 수정 , 삭제 하는 담당MySQL 에서는 여러 스토리지 엔진을 지원한다고 한다InnoDB 엔진MyISAM 엔진Memory 엔진Archive 엔진CSV 엔진Federated 엔진최근 프로젝트를 통해 사용했던 8.xx 버전의 사용된 InnoDB 엔진과 그 전 버전인 MyISAM엔진에 대해알아보려고한다 MyISAM2009.12월 까지 기본엔진으로 MyISAM이 사용 되었다특징COMMIT , ROLLBACK 같은 충돌 복구 기..

비동기 처리 작업은 멀티스레드를 사용해 작업을 분리하고 , 그 작업이 끝날 때 까지 대기하지 않고 다른작업을 처리할 수 있다스프링부트에서는 @Async 어노테이션과 CompletableFuture 클래스를 사용해 비동기 처리를 구현할 수 있다- @Async 는 해당 메서드를 비동기로 실행하도록 설정하고 - CompletableFuture 비동기 처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 비동기 작업이 완료된 이후 결과값을 처리할수 있는 메서드를 제공한다회원가입 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이 완료되면 이메일은 전송하교 , 완료되었다는 페이지를 보여주게 구성했다면@Async만 사용할 경우이메일이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실패했는지 , 언제 끝나는지 정보가 없다그저 비동기 작업을 하고 결과를 신경쓰지 않는다결과적으로 이메일이 실제로 ..

동기와 비동기가 어떤것인지는 알겠고 사용도 해봤는데 말로 설명 못하겠다.. 그러니 모르는거겠지 ?그래서 한번 정리 해보려고 한다.동기 ( synchronous )어떤 작업을 실행할 때 해당 작업이 끝나기를 기다리는 방식해당 작업이 완료 될 때까지 그 다음 행동의 코드는 실행을 멈추고 기다린다, 이런 방식은 작업의 순서를 보장하고 작업이 끝날 때 까지 결과를 기다린다비동기 ( asynchronous )어떤 작업을 실행할 때 해당 작업이 완료되지 않아도 그 다음 코드를 실행하는 방식작업이 완료되지 않더라고 결과를 기다리지 않고 다음 코드를 실행한다 , 이런 방식은 작업이 오래걸리는 경우 시간을 절약한다

CQRS 패턴에 대해 알게되었다CQRS는 데이터 저장소에 대한 읽기와 업데이트(쓰기) 작업을 구분하는 패턴이라고 한다CQRS는 명령모델과 쿼리모델로 나뉜다1. 명령모델 Command Model데이터를 변경하는 작업 (UPDATE , INSERT, DELETE) 를 처리한다 특정 명령을 받아서 비즈니스 로직과 유효성 검사를 수행하고 데이터를 변경한다2. 쿼리모델 Query Model데이터를 조회하는 작업 ( SELECT )을 처리한다최적화된 일기작업을 위해 데이터를 별도의 형태로 저장하기도 한다명령모델은 주로 서비스로직과 관련이있고 데이터 생성 , 수정 , 삭제 같은 작업을 담당한다쿼리모델은 데이터베이스나 다른 저장소에서 데이터를 읽고 결과를 반환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DB 이중화 ( 정보처리기사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