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StringBuffer
- 객체
- 오버로딩
- 자바의정석
- 배열
- spring 게시판 삭제
- 예약어
- SQL 튜닝
- 스프링시큐리티 로그아웃
- 함수
- 인텔리제이 Web 애플리케이션
- java
- SQL
- 반복문
- 이클립스 설치
- 객체지향
- 친절한 SQL 튜닝
- join
- 산술 연산자
- 연산자
- 오버라이딩
- SpringSecurity 로그인
- 논리 연산자
- 식별자
- SQL튜닝
- SpringSecurity 로그아웃
- 친절한 SQL
- 비교 연산자
- @PreAuthorize("isAuthenticated()")
- 상속
- Today
- Total
목록2024/08/19 (2)
gi_dor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RzYc9/btsHU6XibIv/lof5r6bqwFpnsRApuOewM0/img.png)
CQRS 패턴에 대해 알게되었다CQRS는 데이터 저장소에 대한 읽기와 업데이트(쓰기) 작업을 구분하는 패턴이라고 한다CQRS는 명령모델과 쿼리모델로 나뉜다1. 명령모델 Command Model데이터를 변경하는 작업 (UPDATE , INSERT, DELETE) 를 처리한다 특정 명령을 받아서 비즈니스 로직과 유효성 검사를 수행하고 데이터를 변경한다2. 쿼리모델 Query Model데이터를 조회하는 작업 ( SELECT )을 처리한다최적화된 일기작업을 위해 데이터를 별도의 형태로 저장하기도 한다명령모델은 주로 서비스로직과 관련이있고 데이터 생성 , 수정 , 삭제 같은 작업을 담당한다쿼리모델은 데이터베이스나 다른 저장소에서 데이터를 읽고 결과를 반환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DB 이중화 ( 정보처리기사 )데..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 시키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의 단위' SELECTINSERTUPDATEDELETE1. 게시판에 사용자는 글을 작성하고 작성버튼을 누른다 2. 그후에 다시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온다3. 게시판은 자신의 글이 포함되어 업데이트된 게시판을 보게된다이런 상황을 데이터베이스 작업으로 옮기면 INSERT 문을 사용해 작성한 글을 데이터로 저장 그후에 게시판을 구성한 데이터를 다시 SELECT 하여 최신정보로 유지여기서 작업의 단위는 INSERT 문과 SELECT 문을 합친것이다 , 이런 작업 단위를 하나의 트랙잭션이다작업의 단위는 질의어 한문장이 아니다지금까지는 INSERT 따로 SELECT 따로 인줄 알았지만 작성과 조회 이 두과정을 묶어서 트랜잭션이라고한다또한 이 두과정은 ..